뇌졸증(stroke)

1. 뇌졸증이란?
뇌졸증(stroke)은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신경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졸증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3위, 장애 원인 1위의 질환입니다.
2. 뇌졸증의 원인
뇌졸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뇌경색(ischemic stroke): 뇌의 혈관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입니다.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입니다. 동맥경화는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성분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동맥경화로 인해 뇌의 혈관이 좁아지면 혈액이 흐르지 못하고 막히게 됩니다.
뇌출혈(hemorrhagic stroke): 뇌의 혈관이 터져서 뇌 안에 피가 고이는 경우입니다.
뇌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입니다. 고혈압으로 인해 혈관이
약해져서 쉽게 터질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뇌동맥류, 혈액 응고
장애 등이 뇌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뇌졸증의 증상
뇌졸증의 증상은 뇌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었는지에 따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마비
감각 이상
언어 장애
의식 장애
어지럼증
두통
구토
시력 장애
4. 뇌졸증의 진단
뇌졸증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신체 검사, 뇌 CT 또는 MRI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뇌 CT 또는 MRI 검사를 통해 뇌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뇌졸증의 치료
뇌졸증의 치료는 뇌경색과 뇌출혈에 따라 다릅니다.
뇌경색의 치료는 혈전 용해제를 투여하거나 혈관 재개통술을 시행합니다.
혈전 용해제는 혈전을 녹여 혈관을 뚫어주는 약물입니다. 혈관 재개통술은
혈관을 뚫기 위해 풍선이나 스텐트 등을 삽입하는 수술입니다.
뇌출혈의 치료는 혈압 조절과 뇌압 조절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출혈 부위를 제거하거나 혈종을 흡수시키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6. 뇌졸증 응급 처치
뇌졸증은 초기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따라서 뇌졸증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뇌졸증의 응급 처치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눕힙니다.
환자의 목과 어깨를 받쳐주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합니다.
환자의 입에 물이나 음식을 넣지 않습니다.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풀어줍니다.
뇌졸증은 4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뇌졸증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빠른 시간 내에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뇌졸증의 예방
뇌졸증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뇌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규칙적인 운동: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의 유산소 운동을 합니다.
2) 건강한 식습관: 채소와 과일을 많이 섭취하고,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피합니다.
3) 금연: 흡연은 뇌졸증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4) 절주: 과도한 음주는 뇌졸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5) 혈압 관리: 혈압을 140/90 mmHg 미만으로 유지합니다.
6) 혈당 관리: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합니다.
7) 콜레스테롤 관리: 총 콜레스테롤을 200 mg/dL 미만, LDL 콜레스테롤을 100 mg/dL 미만으로 유지합니다.

뇌졸증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평소에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뇌졸증의 위험 요인을 관리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뇌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작스러운 구토와 발작 및 의식장애가 발생했을땐 뇌출혈을 의심해봐야 (0) | 2024.01.26 |
---|---|
갑작스런 졸음과 수면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면 기면증을 의심해봐야 (0) | 2024.01.26 |
발작증상이 있다면 뇌의 만성질환인 뇌전증(epilepsy)을 의심해봐야 (1) | 2024.01.26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증상과 원인 그리고 대책 (1) | 2024.01.25 |
뇌졸중 및 발작증상의 뇌혈관 질환 중 하나인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0) | 2024.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