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이도염은 외이도
(external auditory canal)

1. 외이도염이란 무엇일까요?
외이도염은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즉, 귀의 바깥쪽 부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Otitis Externa'라고 불리며, 'otitis'는 '귀의 염증', 'externa'는
'바깥쪽'을 의미합니다. 외이도는 고막(tympanic membrane)까지 이어지는 통로이며,
청력 유지와 외부 물질로부터 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염은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1.1. 주요 증상
1) 귀 통증: 외이도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통증은 찌르는 듯하거나
화끈거리는 듯하며, 만지거나 누르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
2) 가려움증: 귀가 가려워서 계속 긁고 싶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3) 발적: 외이도 피부가 발적되고 붓습니다.
4) 부종: 외이도 피부가 부어서 귀가 막힌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5) 청력 감소: 염증으로 인해 청력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6) 구름: 귀에서 물이 나오거나 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7) 림프절 비대: 귀 주변 림프절이 붓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 추가적인 증상
발열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구토

2. 외이도염의 원인
2.1. 발생 원인
외이도염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감염: 세균, 바이러스, 진균 감염이 외이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특히, 수영 후 물이 귀에 들어가 젖은 상태가 지속되면 세균 감염이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2) 외부 자극: 귀를 긁거나 이어폰, 면봉 등을 사용하여 외이도를 자극하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알레르기: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외이도 피부가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피부 질환: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 피부 질환이 외이도염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기타: 만성 중이염, 외부 물질 삽입, 화학 물질 노출 등

2.2. 위험 요인
수영
습한 환경
귀를 긁는 습관
이어폰 사용
면봉 사용
알레르기
피부 질환
당뇨병
면역력 약화
3. 외이도염 진단
3.1. 진단 기준
외이도염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1) 병력 청취: 환자의 증상, 과거 병력, 알레르기 정보 등을 확인합니다.
2) otoscopy: 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외이도의 상태를 관찰합니다. 외이도 내 염증, 발적, 부종, 분비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검사: 염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혈액 검사, 배양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3.2. 진단의 중요성
외이도염은 다른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특히, 만성 중이염, 외이도 콜레스테아토마, 악성 종양 등을 감별해야 합니다.

4. 외이도염 치료
외이도염 치료는 환자의 증상, 염증의 정도, 원인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맞춤화됩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약물 치료: 염증과 감염을 완화하기 위해 항생제, 항염증제, 항진균제 등을 처방합니다.
2) 귀 청소: 염증 분비물과 곪을 제거하기 위해 귀를 청소합니다.
3) 통증 관리: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4) 수술 치료: 염증이 심하거나 외이도 콜레스테아토마 등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외이도염 예방
5.1. 예방 방법
외이도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1) 수영 후 귀 청소: 수영 후에는 귀에 들어간 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면봉 대신 손가락으로 귓바퀴를 살짝 당겨 물을 빼내거나 헤어드라이어의
찬바람을 사용하여 물기를 증발시킬 수 있습니다.
2) 귀를 긁지 않기: 귀를 긁으면 염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어폰 및 면봉 사용 주의: 이어폰이나 면봉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외이도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알레르겐 노출을 최소화하고 알레르기 치료를 잘 해야 합니다.
4) 피부 질환 관리: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해야 합니다.
5.2. 추가적인 예방 방법
습한 환경에서 귀를 보호하기
귀에 물질을 삽입하지 않기
화학 물질 노출을 피하기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귀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출귀의 원인과 수술 치료방법은 어떤것이 있을까? (0) | 2024.02.27 |
---|---|
청력문제 난청 증상과 예방방법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1) | 2024.02.27 |
귀 진주종 진주종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은? (0) | 2024.02.26 |
전정신경염 원인과 증상 및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2.26 |
메니에르병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 식생활습관 개선필요 (0) | 2024.02.26 |
댓글